파이썬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아 정수와 정수 리스트를 처리하는 코드
파이썬을 사용하다 보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아 처리해야 하는 경우가 자주 있습니다.
특히, 알고리즘 문제 풀이나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많이 사용되는데 이번 예제는 두 가지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n = int(input())
xn = list(map(int, input().split()))
print(n)
print(xn)
1. 첫 번째 줄: `n = int(input())
이 코드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열을 정수로 변환하여 변수 `n`에 저장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5`를 입력하면 `n`은 `5`가 됩니다.
- `input()` 함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문자열을 반환합니다.
- `int()` 함수를 사용해 그 문자열을 정수로 변환합니다.
- 따라서, 변수 `n`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하나의 정수를 저장하게 됩니다.
2. 두 번째 줄: `xn = list(map(int, input().split()))`
이 코드는 한 줄에 공백으로 구분된 여러 개의 정수를 입력받아 리스트에 저장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1 4 7 9 10`을 입력하면, `xn`은 `[1, 4, 7, 9, 10]`으로 저장됩니다.
- `input()` 함수로 한 줄의 문자열을 입력받습니다.
- `.split()` 메서드를 사용하면, 입력받은 문자열을 공백을 기준으로 분리하여 리스트로 만듭니다.
- `map(int, ...)`는 리스트의 각 요소에 `int()` 함수를 적용해 문자열을 정수로 변환합니다.
- 마지막으로, `list()` 함수를 사용해 `map` 객체를 정수 리스트로 변환합니다.
3. 출력 부분
- `print(n)`은 첫 번째 입력값(정수)을 출력합니다.
- `print(xn)`은 두 번째 입력값(정수 리스트)을 출력합니다.